제품디자인회사 | ARIBIO_Brain Vibroacoust

디자인으로 구현한 치매 관리의 새로운 가능성 – 아리바이오 ‘헤르지온(Herzion)’

고령사회로 접어든 대한민국에서 치매는 단순한 질병을 넘어, 개인의 삶과 가족의 일상, 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훈스튜디오는 이러한 시대적 과제에 대응하고자, 아리바이오와의 협업을 통해 ‘헤르지온(Herzion)’이라는 혁신적인 웨어러블 의료기기의 디자인을 맡아 진행했습니다.

‘헤르지온’은 약물 치료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개발된, 비약물 치료 기반의 저주파 음향·진동 자극 기기로, 사용자의 전두엽과 측두엽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인지기능 개선에 도움을 주는 기술을 기반으로 설계되었습니다. 훈스튜디오는 이 획기적인 기능을 담아내는 데 있어 단순히 외형적 아름다움이 아닌, 기술적 효과를 극대화하고 사용자에게 정서적 안정감과 신뢰감을 줄 수 있는 형태와 구조를 고민했습니다.

헤르지온의 핵심 디자인 키워드는 ‘일상성 속의 전문성’입니다. 사용자의 대부분이 중장년층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기기 자체가 부담스럽거나 인위적인 느낌을 주지 않도록 유려하고 친숙한 곡선 기반의 형태로 디자인을 전개하였습니다. 이마에 착용하는 형태의 밴드 구조는 단순하면서도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강조하였고, 장시간 착용에도 불편함이 없도록 200g의 가벼운 무게와 인체공학적 구조를 채택하였습니다.

디자인의 컨셉은 ‘조화와 자극의 균형’입니다. 인체에 작용하는 음향과 진동은 강렬하지만, 그 전달 방식은 부드럽고 자연스러워야 합니다. 이를 고려하여 외관에서는 의료기기 특유의 냉철한 이미지보다, 따뜻하고 신뢰감 있는 소재와 컬러를 선택하였습니다. 부드러운 촉감의 실리콘 밴드, 반사광이 적은 무광 마감, 심플하고 정제된 LED 인터페이스 등은 시각적 자극을 최소화하면서도 기능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헤르지온의 UI 연동 역시 디자인의 주요 고려 요소였습니다. 스마트폰과 블루투스로 연결되는 앱 기반의 조작 체계는, 비전문가인 사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단순한 인터페이스와 아이콘을 기반으로 설계되었습니다. 훈스튜디오는 제품과 앱 간의 통합적인 사용자 경험이 일관되도록, 색상 체계와 그래픽 스타일, 피드백 방식에 이르기까지 철저한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전략을 수립했습니다.

또한, 헤르지온의 디자인은 ‘심리적 거부감 최소화’라는 목표를 바탕으로 진행되었습니다. 특히 치매라는 단어가 주는 무게감을 덜기 위해, 기기의 형태와 착용 방식은 일반적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크게 다르지 않도록 구성하였으며, 외부에서 쉽게 알아볼 수 없도록 패션 아이템처럼 자연스럽게 착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었습니다. 이는 사용자 본인의 심리적 안정과 동시에 주변 사람들의 시선에서도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중요한 전략이었습니다.

훈스튜디오는 ‘기술을 입은 디자인’이라는 철학 아래, 헤르지온이라는 기기 안에 단순한 형태의 조합이 아닌, 사람의 일상과 건강을 깊이 있게 연결하는 디자인 해석을 담아냈습니다. 특히 의료기기의 영역에서 디자인이 단순한 외형 이상의 의미를 가지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감정, 사용 맥락, 제품의 신뢰성 등 다양한 요소가 함께 고려되어야 합니다.

아리바이오와의 긴밀한 협업 과정에서 훈스튜디오는 제품 초기 컨셉 스케치 단계부터 실사용자 인터뷰, 프로토타입 테스트, 앱 연동 UI 설계까지 전 과정을 함께 하며, 디자인이 단순한 외형이 아닌 사용성과 효과성을 증대시키는 핵심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다시 한번 실감했습니다.

결과적으로, ‘헤르지온’은 단지 기능성만으로 평가받는 의료기기가 아닌, 사용자에게 ‘희망’과 ‘회복’을 디자인으로 전달하는 매개체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 여정 속에서 훈스튜디오는 디자인이 사회적 가치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실질적으로 보여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훈스튜디오는 기술과 사람, 환경 사이의 균형을 고민하며, 변화하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디자인 솔루션을 제시해 나갈 것입니다.

ealizing New Possibilities in Dementia Care through Design – The Design Story of Aribio’s ‘Herzion’

As Korea enters a super-aged society, dementia has become a critical issue that impacts not only individuals and families but the entire social structure. In response to this societal challenge, HOONSTUDIO collaborated with Aribio to develop the design of an innovative wearable medical device called “Herzion.”

Herzion is a non-pharmacological therapeutic device designed to go beyond the limitations of drug-based treatment. It operates by delivering low-frequency sound and vibration stimulation directly to the frontal and temporal lobes of the brain to support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In designing this breakthrough device, HOONSTUDIO prioritized not only aesthetics but also the enhancement of technological impact and the creation of emotional comfort and trust for users. The goal was to craft a form that would intuitively reflect the device’s medical purpose while seamlessly integrating into users’ everyday lives.

Design That Blends Professionalism into Everyday Life

The core design philosophy of Herzion is “professionalism within everyday life.” Recognizing that the primary users are middle-aged and older adults, the design adopts smooth and familiar curves to avoid feelings of discomfort or artificiality.

The headband-style structure, worn across the forehead, emphasizes a simple and intuitive interface. To ensure comfort during extended use, the device features an ergonomic form and weighs only 200 grams, minimizing strain even for elderly users.

This thoughtful balance between professional functionality and domestic familiarity was essential in developing a product that users would willingly adopt and consistently use as part of their daily health routines.

A Form That Balances Harmony and Stimulation

The core visual concept centers around “balance between harmony and stimulation.” While the sound and vibration stimuli delivered by the device are powerful, the way they are administered must feel natural and non-intrusive.

To reflect this philosophy, HOONSTUDIO selected warm, approachable materials and soft colors, diverging from the typically clinical image of medical devices. The use of matte finishes with minimal reflection, soft-touch silicone, and a clean, minimal LED interface contributes to a calm, reassuring product experience while maintaining full functionality.

This harmony in form not only improves user compliance but also reinforces the emotional connec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device.

An Integrated User Experience Across Device and App

The integration between the physical device and its mobile application was another key focus of the design process. The Bluetooth-enabled app interface was developed to be as intuitive and user-friendly as possible, especially for non-tech-savvy users.

Icon-based navigation, minimal text, and simple operation allow users to operate the device confidently. To maintain consistency and build brand trust, the visual identity—including colors, iconography, and overall graphic language—was carried across both the hardware and digital platforms.

This holistic approach ensures that Herzion is not just a functional medical tool, but part of a seamless and reassuring health management system.

A Form Designed for Psychological Comfort

One of the major challenges in designing Herzion was addressing the stigma often associated with cognitive decline and dementia. HOONSTUDIO aimed to minimize psychological resistance by creating a product that resembles a general wearable device rather than a conventional medical instrument.

The result is a device that blends discreetly into the user’s daily life without drawing attention. Its appearance avoids evoking discomfort or embarrassment, especially in public settings, thereby preserving the user’s dignity and emotional well-being.

By making the product feel familiar and accessible, the design reduces mental barriers to use and encourages long-term engagement.

Design as a Medium for Social Value

Driven by the philosophy of “design empowered by technology,” HOONSTUDIO infused Herzion with a human-centered perspective that connects its form not only to function but also to purpose and emotion.

From early sketches and user research to prototyping and UI development, HOONSTUDIO was involved in every phase of development. The result is a design that plays an active role in enabling both functionality and a rich user experience.

Through this project, HOONSTUDIO reaffirmed the belief that design can serve as a bridge between science and society—translating complex technologies into accessible, meaningful, and life-enhancing tools.

Herzion is more than a functional healthcare device—it is a symbol of hope, healing, and empowerment for those experiencing cognitive decline.

HOONSTUDIO will continue to offer design solutions that reflect the evolving needs of people and society, creating products that balance functionality, emotional value,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for a better and more inclusive future.

아리바이오, ‘치매 치료 전자약 개발’ 추진

아리바이오, ‘치매 치료 전자약 개발’ 추진

경구용 치매치료제로 미국 FDA 임상 3상을 진행 중인 아리바이오(대표이사 정재준)가 정부 지원으로 치매 치료 전자약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아리바이오는 보건복지부가 공모한 2023년 제1차 보건의료기술 연구개발사업의 ‘치매 전자 약 기술개발’ 연구에 최종 선정됐다고 24일 밝혔다.

정부는 5대 핵심과제로 선정한 ‘바이오헬스 전략’을 통해 2026년까지 약 466억원을 지원해 전자약 시장 생태계 조성, 난치성 및 희귀 질환 치료제 개발 및 임상 지원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에 선정된 아리바이오 연구과제는 감마파 동조를 유도하는 ‘음향진동 자극(Vibroacoustic)을 이용한 초기 알츠하이머병 치료 기술 개발’이다.

아리바이오는 정부 지원 15억원을 포함 총 20억원 규모로 분당서울대병원 및 동국대학교 의생명공학과, 에보소닉과 협력해 총 4년간 치매 전자약 허가를 목표로 과제를 공동 수행한다.
음향진동을 이용한 알츠하이머병의 치료적 접근은 기억 및 인지와 관련된 뇌파 동조를 유도하고 뇌 혈류량 개선을 통해 치매 증상을 완화하는 것이다.
사람 뇌파는 어떤 사물이나 상황을 의식적으로 파악하는 순간 초당 40회 정도 감마파 진동이 동기화돼 나타난다.

경도인지장애 환자나 알츠하이머병의 경우 감마파 진동이 약화돼 있다고 알려져 뉴런의 감마 동조는 기억 및 인지기능을 개선하는 유망한 방법으로 제기된다.
또한 치매 환자들 뇌 혈류량을 개선하면 증상 완화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다.

아리바이오는 치매 극복이라는 기업 사명에 맞추어 알츠하이머병 신약(AR1001~AR1005) 개발을 진행하며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치매 전자약 기술개발을 2019년부터 시작했다.
5년 여 동안 연구결과 음향진동 헤드밴드 형태로 제품을 개발, 사운드와 진동을 동시 출력하는 초소형 음향진동 모듈을 전두엽과 양쪽 측두엽 부위에 탑재했다.

또한 간단한 버튼 방식으로 조작이 편리해 고령 노인도 사용하기 쉽게 설계했다
2021년 식약처의 ‘신개발 의료기기 허가도우미’로 지정돼 신속 제품화 지원을 받고 있으며, 한국의료기기 안전정보원의 의료기기 제품화 단계별 맞춤형 멘토링에 선정되기도 했다.

이번 정부의 전자약 기술개발 지원사업을 통해 이른 시일 내 탐색 임상시험계획 승인 신청을 하고, 추후 확증 임상시험을 통해 2026년경 치매 전자약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정재준 대표이사는 “음향진동 전자약이 미래 치매 극복의 첨병이 될 수 있도록 산학연 연구와 임상시험 및 제품화를 체계적으로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Dailymedy 박대진 기자 (djpark@dailymedi.com)

제품디자인회사 | SAM4S Sapphire POS Terminal

SAM4S SAPPHIRE POS 단말기는 산업용 기기의 전형적인 이미지에서 벗어나, 미니멀리즘을 기반으로 한 조형성과 기능성이 공존하는 디자인으로 설계되었습니다. HOONSTUDIO는 이 제품에 ‘기능을 품은 형태’라는 철학을 적용하여, 기술적 신뢰성과 시각적 감성의 균형을 세련되게 구현하였습니다. 이 제품은 다양한 각도에서 시각적으로 변주되는 형태감을 중심으로, 조형의 깊이와 밀도를 높인 디자인이 특징입니다.

가장 먼저 주목할 요소는 변화감 있는 라인의 적용입니다. SAPPHIRE는 각진 형태와 곡면이 절제된 방식으로 교차하며, 제품을 마주하는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실루엣과 조형미를 드러냅니다. 이는 단순히 외관의 독특함을 넘어서, 사용자가 POS 단말기를 바라보는 시각적 경험 자체를 디자인 요소로 끌어들인 결과입니다. 이러한 형태의 분할과 전개는 시선을 자연스럽게 유도하며, 제품이 설치된 매장의 인테리어와도 유기적으로 어우러집니다. 특히 후면의 입체 패턴은 조형적 볼륨감을 제공하면서 브랜드의 정체성을 부각시키는 시각적 장치로 작용합니다.

제품 구조에서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이중 폴딩 방식의 적용입니다. 이중 폴딩은 틸트(tilt) 기능을 중심으로 설계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디스플레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며, 유연한 사용 환경을 제공합니다. 단순한 조절 기능을 넘어 이 구조는 제품이 사용되지 않을 때에도 슬림하고 단정한 인상을 유지하게끔 설계되었습니다. 폴딩 후 기기가 가지는 컴팩트한 실루엣은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정면 및 측면에서 바라볼 때 시각적으로도 간결하고 가벼운 인상을 남깁니다. 이러한 조형은 제품의 경량화된 인상과 고급스러움을 동시에 강화하는 데 기여합니다.

제품 전면에는 15인치 베젤리스 멀티터치 디스플레이가 탑재되어 있으며, 이 디스플레이는 화면 자체가 외곽과 매끄럽게 이어지는 구조로 구성되어 조형적으로도 간결함과 완성도를 제공합니다. 기능적으로는 방수 및 방진 설계를 통해 내구성을 확보하였지만, 그 기능이 외관을 방해하지 않도록 절제된 마감과 고른 표면 처리를 적용해 디자인 완성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전면에서 보여지는 화면과 하단의 베이스가 형성하는 시각적 축은 사용자가 마주할 때 안정적인 균형감을 형성하도록 계획되었습니다.

후면 디자인은 기능성 뿐만 아니라 시각적 차별성을 의도적으로 강조한 부분입니다. 입체적인 텍스처와 리듬감 있는 패턴은 단순한 기기 후면을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확장 공간으로 활용한 예이며, 이는 타 브랜드 제품들과 명확히 구분되는 요소로 작용합니다. 이러한 후면 디자인은 제품이 매장 내 오픈된 형태로 설치될 경우에도 시각적 완성도를 해치지 않도록 구성되어, 어떤 방향에서도 일관된 고급감을 유지합니다.

디자인적으로 주목할 또 다른 부분은 인터페이스 요소의 배치입니다. 사용자의 직관적인 동선을 고려하여 포트와 버튼,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하단 또는 후면 가장자리로 정리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전면과 측면의 조형 흐름이 방해받지 않습니다. 이는 사용자 환경을 고려한 실용성과 미적 조형이 동시에 반영된 결과입니다. 또한 전체적인 무게 중심과 밸런스는 스탠드의 기울기와 높이를 통해 조절 가능하며, 다양한 설치 조건에서도 기기의 안정성과 일관된 시각 이미지를 유지할 수 있게 합니다.

HOONSTUDIO는 SAPPHIRE를 통해, 단순한 POS 기기가 아닌 ‘공간 안의 오브제’로서 제품이 어떤 미적 가치를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해 고민하였습니다. 기능을 포장하는 조형이 아닌, 기능을 구조화하고 시각화한 형태는 산업 디자인의 본질적인 해석에 가깝습니다. 이는 결국 사용자가 제품을 통해 접하게 되는 기술에 대한 신뢰와,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으로 이어지며, 제품을 기억에 남게 만드는 디자인 전략의 핵심이 됩니다.

결론적으로 SAM4S SAPPHIRE는 기술, 조형, 사용성을 통합한 완성도 높은 산업용 디바이스입니다. 보는 방향에 따라 다양한 인상을 주는 조형 설계, 이중 폴딩 구조의 기능적 유연성, 그리고 사용자 경험을 고려한 세부 디테일까지, 모든 요소는 HOONSTUDIO의 디자인 철학이 반영된 결과물입니다. 이러한 디자인 요소들은 SAPPHIRE를 시장에서 독창적인 존재로 부각시키며, 기능성과 조형미를 조화롭게 결합한 산업 디자인의 세련된 사례로 인식되게 합니다.

The SAM4S SAPPHIRE POS terminal, designed by HOONSTUDIO, redefines the image of industrial devices through a minimalist and refined design approach. Emphasizing the philosophy of “form shaped by function,” the terminal showcases a sculptural quality where clean lines and soft curves intersect to create a dynamic visual identity.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the silhouette of the product changes, providing depth and a sense of movement to an otherwise static device.

A key feature of the design is its dual-folding structure, which supports adjustable tilt angles. This mechanism allows the display to adapt to a variety of usage environments while preserving a slim and compact appearance when not in use. This thoughtful approach not only enhances functionality but also improves space efficiency and maintains a polished visual presence.

At the front, a 15-inch bezel-less touchscreen integrates seamlessly into the body, offering a clean and modern look. The display’s design prioritizes both durability and aesthetics, incorporating waterproof and dustproof features without compromising its sleek appearance. The visual axis between the display and the base ensures compositional balance and stability.

The rear of the terminal is equally considered, with subtle three-dimensional textures and rhythmic patterns that contribute to brand recognition and make the product visually appealing from all angles. Ports and interface elements are carefully positioned at the bottom and rear to maintain a clutter-free profile. Through this design, HOONSTUDIO positions SAPPHIRE not just as a device, but as a statement piece—functional, elegant, and memorable.

HOONSTUDIO | 훈스튜디오 대표자 : 정재훈 사업자등록번호 : 119-17-36284 서울시 구로구 신도림동 412-3 신도림팰러티움 102동 1303호
TEL : +82-2-6013-1049 FAX : +82-2-6013-1048 MOBILE : 010-4526-1049 E-MAIL : ratiodesign@gmail.com